토론 이야기

수행평가와 지필고사와의 비교분석?

대달 2019. 8. 9. 16:29

4. 수행평가와 지필고사와의 비교분석?

 

 

정시밖에 없던 시험제도에서 수시가 시작되고 0.%로 시작한 수시가 이제는

64%에 육박하는 세상이 되었습니다.

10명 중 7명이 수시라는,

과거에는 없던 시험제도 하에서 대학을 가는 세상이 된 것입니다.

이 속도로 볼 때,

수시가 100% 실시되는 시기가 얼마 남지 않아 보입니다.

그리고 벌써부터 서울·경기를 중심으로 한 진보 교육감들은 정시폐지를 들고 나오고 있는 상황이지요.

이러한 추세가 어찌 대입에만 한정되겠습니까!

지필고사의 쪽지시험 또는 별책부록 쯤으로 시작한 수행평가가 이제는 100%로 실시로 바뀌었으니 분명 세상이 바뀌어도 크게 바뀌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여기서 과거라고 지칭하는 것은 20세기를 의미합니다.

인간의 노동력을 중심으로 한 아날로그 시대 때인 거죠.

이 시대에는 다양성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소품종 다량생산의 시대였고, 그렇기에 똑같은 물건들만 계속 찍어대어야 했고

그런 세상에 맞는 교육은 단순성, 획일성, 찍기식, 객관식이 정확하게 맞아 떨어졌던 겁니다.

그러나 이제 우리가 살아가야 할 시간은 21세기입니다.

기계가 생산성을 책임지는 시대이기 때문에 디지털 시대라고 부르죠.

이 시대는 다양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품종 소량생산의 시대가 열리고 모두가 원하는 것을 맞춤식으로 만들어 줄 수 있는 세상이 열린 것입니다.

이런 세상에 맞는 교육은 다양성, 융합성, 풀이식, 주관식이 잘 맞아 떨어지는 겁니다.

 

정시나 지필고사는 20세기의 시험제도이고

수시와 수행평가는 21세기의 시험제도입니다.

그러면 정시와 지필고사에는 20세기의 특징이,

수시와 수행평가에는 앞으로 지향해야할 21세기의 특징이 그대로 남아 있을 겁니다.

그래서 나름 연구한 결과물을 비교분석표를 만들어 제시합니다.

변화하는 교육 시장 분석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말입니다, ㅎㅎ

 

지필고사 시대의 특징

(객관식-20세기)

수행평가시대의 특징

(주관식-21세기)

선생주도 채점형식

학생주도 표현식

일방전달식

상호토론식

우기기 비난형

따지기 비평형

회피형

도전형

부분단선적 교육

총체시각적 교육

주입식

체험식

국어문장식

창의적논술식

문제 풀이식

문제 해결식

암기식

창의식

구두식 주먹구구 평가

평가 자료식

학년별

능력별

진도별

수준별

집단적

개인적

폐쇄형

개방형

이분화

다양화

비체계적 비논리적 비과학적 판단과 평가

체계적 과학적 판단과 평가